Today 88 | Total 922,432

5G 서비스 음영지역 예측을 위한 서울시립대학교 5G 품질 현황 분석

조회 401

실측과 ITU-R P.1411 모델 비교를 통하여

세계 최초 5G 상용화 1년이 지난 지금, 품질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커버리지 맵을 개선하고자 실측을 통한 현황도, ITU-R P.1411 모델을 활용한 예측도를 제작해 보았습니다.

의견

7 thoughts on “5G 서비스 음영지역 예측을 위한 서울시립대학교 5G 품질 현황 분석”

  1. 5G의 속도가 어느 지역에서 느린지 확인할 수 있었고 분석 방법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비싼 5G요금제를 내는 입장으로서 슬픕니다..

    Reply
  2. 실측을 통한 5G 품질 현황 분석이 확실히 기존의 커버리지맵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사용자, 통신사, 지자체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분석인 것 같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Reply
  3. 위치별 품질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만드셨다는 것에 한 번 놀라고 작품을 살펴보았습니다. 평소 5G에 대한 기사를 보면 사용자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내용이 많았는데 개선된 커버리지 맵을 활용한다면 그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을 것 같아요! 본 작품을 보면서 하루 빨리 통신사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으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드네요. 잘 봤습니다 !!

    Reply
  4. 현재 5G 품질의 예상치를 구하는 방법과 실측치를 구하는 방법이 흥미로웠습니다. 5G 제공 업체에서 해결책을 내놓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였으면 좋겠습니다.

    Reply
  5. 서울시립대내에서 5G속도를 알 수 있었고 분석방법이 흥미로웠으며 사용자, 통신사, 지자체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얻은 점이 인상깊습니다.

    Reply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