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말
교통공학과 졸업작품전은 졸업을 앞둔 학생들이 교통공학을 전공하며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합니다. 특히, 교통부분에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제 및 문제를 선정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체계적이고 교통 공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합니다.
제38회 졸업작품전은 이승재 교수님 7명, 박동주 교수님 6명, 김도경 교수님 6명으로 총 19명의 학생들이 작품전을 준비하였습니다.
2024년 교통공학과 작품전은 6월 3일(월)부터 6월 11일(화)까지 100주년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오프라인 전시와 온라인 아카이브로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학생들의 열정을 통해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가 많이 도출되었습니다. 학생들의 이번 작품에서의 노력이 앞으로 교통공학도로서 더욱 발전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교통공학과
교통공학과는 1988년에 도시공학과 내의 교통공학전공으로 출발하여, 2005년에 교통공학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8명의 교수가 재직 중입니다.
그간 배출된 200여 명의졸업생은 공무원, 국영기업, 연구원, 대기업 등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교통공학전공은 교통시설 개발, 교통운영과 설계, 정책결정 및 계획, 교통안전, 첨단교통체계 물류, 철도·대중교통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학부로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유일한 교통공학과로서, 국내 및 국제교류를 활성화하여 첨단 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간 배출된 200여 명의졸업생은 공무원, 국영기업, 연구원, 대기업 등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교통공학전공은 교통시설 개발, 교통운영과 설계, 정책결정 및 계획, 교통안전, 첨단교통체계 물류, 철도·대중교통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학부로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유일한 교통공학과로서, 국내 및 국제교류를 활성화하여 첨단 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작품목록
노인보호구역 문제 진단 및 개선 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이민웅 | 교통공학과
#교통안전 #노인보호구역
노인보호구역 문제 진단 및 개선 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노인보호구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
새벽시간대 교통공백 해소를 위한 순환형 자율주행버스 노선 설계
정예비 | 교통공학과
#교통공백해소 #대중교통서비스 #자율주행버스
새벽시간대 교통공백 해소를 위한 순환형 자율주행버스 노선 설계
대중교통이 멈추는 새벽에도, 누구나 이동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순환형 자율주행버스를 설계했습니다.
화물전용 하이퍼튜브(HTX) 국내 도입 전략
김도원 | 교통공학과
#물류 #하이퍼튜브
화물전용 하이퍼튜브(HTX) 국내 도입 전략
고속도로 Park and Ride 시스템 제안
문지헌 | 교통공학과
#P&R #Park and Ride
고속도로 Park and Ride 시스템 제안
비공개
서울시 소규모 도심형 물류센터(MFC) 기반 생활물류 개선 연구
강전준 | 교통공학과
#Last-mile #MFC #입지분석
서울시 소규모 도심형 물류센터(MFC) 기반 생활물류 개선 연구
비공개
AMB: 모듈화로 생활권을 보다 빠르게!
박상민 | 교통공학과
#버스 #모듈화
AMB: 모듈화로 생활권을 보다 빠르게!
동적 군중 밀도를 반영한 수정된 사회적 힘 모형의 행동 매개변수 정산
이예린 | 교통공학과
# 사회적힘모형 #군집화 #군중유체화 #유전알고리즘
동적 군중 밀도를 반영한 수정된 사회적 힘 모형의 행동 매개변수 정산
A Calibration Method for Behavioral Parameters in a Modified Social Force Model Considering Dynamic Crowd Density
계단식 지하도로 진출부 도입 및 효과분석
류호영 | 교통공학과
# 지하고속도로
계단식 지하도로 진출부 도입 및 효과분석
화물차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공영차고지 설치 및 자율주행 셔틀 시스템 도입
송준희 | 교통공학과
화물차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공영차고지 설치 및 자율주행 셔틀 시스템 도입
횡단보도 위의 고령자 배려: 고령자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신호 자동연장과 보행섬 도입방안
손현웅 | 교통공학과
횡단보도 위의 고령자 배려: 고령자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신호 자동연장과 보행섬 도입방안
VOICE路 – 버스를 만나는 소리로
이찬희 | 교통공학과
#교통약자 #버스정류장 #시각장애인
VOICE路 – 버스를 만나는 소리로
시각 장애인을 위한 버스 정류장 개선 제안
비공개
도시철도 혼잡도 정보제공을 통한 서비스 향상
기대석 | 교통공학과
#혼잡도 #도시철도 #딥러닝
도시철도 혼잡도 정보제공을 통한 서비스 향상
비공개
휠체어 이용자 지하철 보행권역 스코어
백동우 | 교통공학과
휠체어 이용자 지하철 보행권역 스코어
비공개
대기행렬이론 기반 드라이브스루(DT) 대기열 분석을 통한 교통 혼잡 완화 방안
홍대현 | 교통공학과
#대기행렬이론 #드라이브스루
대기행렬이론 기반 드라이브스루(DT) 대기열 분석을 통한 교통 혼잡 완화 방안
대기행렬이론 기반 드라이브스루(DT) 대기열 분석을 통한 교통 혼잡 완화 방안 연구입니다.
비공개
주유소를 스마트 MFC로!
유영민 | 교통공학과
주유소를 스마트 MFC로!
비공개
동탄역 GTX-A 이용 활성화를 위한 주차대행 서비스 도입 제
김주형 | 교통공학과
#GTX #동탄역
동탄역 GTX-A 이용 활성화를 위한 주차대행 서비스 도입 제
광역버스 승차 가능성 고려한 라우팅 전략
홍도형 | 교통공학과
#광역버스 #버스는왔지만내자리는없었어 #입석금지
광역버스 승차 가능성 고려한 라우팅 전략
드론-트럭 하이브리드 모델 기반 경주시 라스트마일 배송 최적화
김용훈 | 교통공학과
드론-트럭 하이브리드 모델 기반 경주시 라스트마일 배송 최적화
지하철 기반 자전거 연계 도심형 물류 서비스
박소윤 | 교통공학과
#도심물류최적화 #서울특별시 #지하철 #화물용전기자전거
지하철 기반 자전거 연계 도심형 물류 서비스
도심 지하철과 화물용 전기 자전거를 활용한 친환경 물류 시스템 구축
비공개
자율주행차-검지기 데이터 기반 다차로 교통 상태 추정
박지원 | 교통공학과
#ITS #교통상태추정 #자율주행차량
자율주행차-검지기 데이터 기반 다차로 교통 상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