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말
조경학과 졸업작품전은 아름다운 국토, 건강한 지구 그리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는 다양한 주제를 합리적 계획과 창의적 디자인을 통해 공간 구상안을 도출하는 설계형 작품과 과학적인 탐구를 통한 실천이론 및 정책을 제안하는 계획형 작품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설계형은 김아연 교수, 김영민 교수가 8팀을 지도하였고, 박 찬 교수, 이재호 교수가 계획형(연구형 1팀 포함) 11팀을 지도하였습니다. 학생들은 2인 1팀을 이뤄 다양한 주체로 도시와 지역문제를 실천적으로 해결하는 해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설계형 캡스톤 디자인
[Concrete for biodiversity:서울 도시 생물다양성 회복을 위한 비인간 서식지로서의 아파트 재건축]
-강민석, 김빈
[URBAN CHAIN 다층적 링이 엮어내는 흐름, 도시와 캠퍼스를 잇다] -조수현, 안수빈
[침묵의 땅, 살아나는 기억 : 경산코발트광산 메모리얼 조성] -김도은, 문수혁
[Inflow In-flow 물의 흐름 위에 쓰이는 영산강변 저류지 경관 재해석 프로젝트] -나하윤, 황윤주
[돌봄과 되살림, 회복의 공간 : 사육곰 생츄어리와 3세대 동물원 연계 프로젝트] -김율리, 이채은
[흐르는 경계, 스미는 풍경 : 도시와 교정시설 사이의 경계 재설정] -이서은, 김민지
[Guidescape for the Wounded Youth : 자연의 흐름과 시야의 전략으로 풀어낸 의료재활소년원 설계] -박소영, 전세연
[Revealing Water : 역사적 흐름 위에 새긴 회복탄력적 물 경관 설계] -정수현, 최윤희
[URBAN CHAIN 다층적 링이 엮어내는 흐름, 도시와 캠퍼스를 잇다] -조수현, 안수빈
[침묵의 땅, 살아나는 기억 : 경산코발트광산 메모리얼 조성] -김도은, 문수혁
[Inflow In-flow 물의 흐름 위에 쓰이는 영산강변 저류지 경관 재해석 프로젝트] -나하윤, 황윤주
[돌봄과 되살림, 회복의 공간 : 사육곰 생츄어리와 3세대 동물원 연계 프로젝트] -김율리, 이채은
[흐르는 경계, 스미는 풍경 : 도시와 교정시설 사이의 경계 재설정] -이서은, 김민지
[Guidescape for the Wounded Youth : 자연의 흐름과 시야의 전략으로 풀어낸 의료재활소년원 설계] -박소영, 전세연
[Revealing Water : 역사적 흐름 위에 새긴 회복탄력적 물 경관 설계] -정수현, 최윤희
계획형 캡스톤 디자인
[보라매 공원의 치유 경로: 도시 속 녹색 연결]
-왕신혜, 박재민
[양평 동부권 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재구조화 계획] -이유송, 장민정
[대구광역시 정원도시 조성을 위한 권역별 맞춤형 전략] -권솔지, 김다민
[관계인구 형성을 통한 대전 원도심의 지속가능한 축제 기획 : 0시 축제 재편을 중심으로] -민희경, 백수빈
[조류 서식지 관리를 통한 버드스트라이크 예방 계획 무안공항을 대상으로] -박주하, 최유진
[STEPS TO Cool Walkability : 중층 고밀도 도시 보행환경의 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식재 및 포장 전략 제안] -박지우, 윤수영
[데이터 분석 기반 도시 재난(폭염, 침수) 위험성 평가 및 공원 유형화 계획 – IPCC AR6 기후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이준성, 차민승
[입지 적정화 계획을 통한 효율적인 공간 재편 전략 제안 – 안계면 소재지를 대상으로] -김태훈, 배성훈
[(연구형) 서울시 여름철 열환경(LST)에 대한 도시구조와 토지이용의 복합적 영향 분석] -정상민
[보존 중심 역사공원에서 체험의 가치를 더하다 – 허준근린공원 역사공원화 및 브랜딩] -최정인, 유시폴제릭
[새로운 보행 경험의 시작, AI 기반 맞춤형 녹지 경로 개발] -문용우
[양평 동부권 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재구조화 계획] -이유송, 장민정
[대구광역시 정원도시 조성을 위한 권역별 맞춤형 전략] -권솔지, 김다민
[관계인구 형성을 통한 대전 원도심의 지속가능한 축제 기획 : 0시 축제 재편을 중심으로] -민희경, 백수빈
[조류 서식지 관리를 통한 버드스트라이크 예방 계획 무안공항을 대상으로] -박주하, 최유진
[STEPS TO Cool Walkability : 중층 고밀도 도시 보행환경의 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식재 및 포장 전략 제안] -박지우, 윤수영
[데이터 분석 기반 도시 재난(폭염, 침수) 위험성 평가 및 공원 유형화 계획 – IPCC AR6 기후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이준성, 차민승
[입지 적정화 계획을 통한 효율적인 공간 재편 전략 제안 – 안계면 소재지를 대상으로] -김태훈, 배성훈
[(연구형) 서울시 여름철 열환경(LST)에 대한 도시구조와 토지이용의 복합적 영향 분석] -정상민
[보존 중심 역사공원에서 체험의 가치를 더하다 – 허준근린공원 역사공원화 및 브랜딩] -최정인, 유시폴제릭
[새로운 보행 경험의 시작, AI 기반 맞춤형 녹지 경로 개발] -문용우
조경학과
1975년 설립된 조경학과는 2025년 올해로 설립 50주년이 되었으며, 현재 학과, 대학원 석·박사과정, 도시과학대학원 석사과정이 개설되어 있어 다양한 수준의 포괄적인 조경계획 및 설계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과 설립 50주년이 된 본교 조경학과는 한국 조경계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환경생태 중심의 교육과 디자인중심 교육을 축으로 특성화된 커리큘럼을 통해 정원, 공원,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 조경시설물, 생태 등의 외부공간에 대한 조경전문가를 양성합니다.
그동안 본교 조경학과에서 배출된 많은 졸업생들은 관공서, 공사, 대학을 비롯하여 건설사, 설계사무소 등 다양한 실무 및 연구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작품목록
비공개
입지 적정화 계획을 통한 효율적인 공간 재편 전략 제안
김태훈,배성훈 | 조경학과
# 입지 적정화 계획 #농촌 공간 재구조화 #농촌 생활권 계획 #인구 감소형 농촌계획 #지방 소멸 대응
입지 적정화 계획을 통한 효율적인 공간 재편 전략 제안
A Proposal for Efficient Spatial Reorganization Strategies through a Location Optimization Plan - Focused on Angye-myeon Area -
하윤주비공개
Inflow – In flow
나하윤, 황윤주 | 조경학과
Inflow – In flow
물의 흐름 위에 쓰이는 영산강변 저류지 재해석 프로젝트
문돈구리
침묵의 땅, 살아나는 기억
김도은, 문수혁 | 조경학과
#경산코발트광산 #메모리얼
침묵의 땅, 살아나는 기억
경산코발트광산 메모리얼 조성
새로운 보행 경험의 시작, AI 기반 맞춤형 녹지 경로 개발
문용우 | 조경학과
#보행동선 #AI #녹지경로 #세그멘테이션 #이미지분석
새로운 보행 경험의 시작, AI 기반 맞춤형 녹지 경로 개발
서울시 여름철 열환경(LST)에 대한 도시구조와 토지이용의 복합적 영향 분석
정상민 | 조경학과
서울시 여름철 열환경(LST)에 대한 도시구조와 토지이용의 복합적 영향 분석
비공개
보존 중심 역사공원에서 체험의 가치를 더하다: 허준근린공원 역사공원화 및 브랜딩
유시폴제릭, 최정인 | 조경학과
#브랜딩 #역사공원
보존 중심 역사공원에서 체험의 가치를 더하다: 허준근린공원 역사공원화 및 브랜딩
ChoiSoo비공개
Revealing Water : 역사적 흐름 위에 새긴 회복탄력적 물 경관 설계
정수현, 최윤희 | 조경학과
Revealing Water : 역사적 흐름 위에 새긴 회복탄력적 물 경관 설계
역사적 흐름 위에 새긴 회복탄력적 물 경관 설계
Concrete for BIODIVERSITY
강민석,김빈 | 조경학과
#도시 생물다양성 #목동신시가지아파트 #재건축
Concrete for BIODIVERSITY
인간의 집이 가진 비인간 서식지의 가능성을 토대로, 서울의 도시 생물다양성 회복을 위한 서식지로서의 아파트 재건축을 제안하다.
장이지비공개
양평 동부권 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재구조화 계획
이유송, 장민정 | 조경학과
#경기도 #규제 중첩 #농촌공간재구조화 #양평군 #입지 혼재 #자연보전권역
양평 동부권 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재구조화 계획
PARK 왕
보라매 공원의 치유 경로 : 도시 속 녹색 연결
왕신혜, 박재민 | 조경학과
#매력 가든 #보라매 공원 #오감 치유
보라매 공원의 치유 경로 : 도시 속 녹색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