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말
PLACEMAKING STUDIO
김정빈 교수 스튜디오
‘도시설계’와 ‘장소만들기’의 차이는 무엇일까? 도시공간에서 물리적 도시공간을 계획-설계하는 것이 도시설계가의 역할이었다. 도시재생, 기존의 도시공간을 활성화 하는 것, 도시의 공공공간을 좀 더 많은 시민들이 향유하게끔 하는 것은 도시의 물리적 공간을 계획-설계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요구한다. 1995년Shibley는 그의 저서[Placemaking: The Art and Practice of Building Communities]에서 ‘장소만들기란 인간이 그들 스스로 찾은 공간을 그들이 살고 향유하는 공간으로 바꾸어가는 방법’이라고 정의하며 어느 한 계획가의 머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와 참여에 의해 만들어 가는 과정을 만들어 나가는 것임을 이야기 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 우리는 빠른 산업화의 시간을 거치며 형성된 도시공간을 조금 더 나은 환경으로 만들어 나가는 시기에 직면하며 단순한 물리적 설계가 아닌 통합적인 사고와 고려에 의해 도시공간을 개선해 나가는 시점에 와있다. 이에 플레이스메이킹 관점에서 도시개선방안을 파주와 서울의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는 도시제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도시설계와 도시형태(계획/설계 합반스튜디오)
양승우 교수 스튜디오
- 도시계획과 도시설계는 암수한쌍(자웅동체)이다.
사람들은 도시를 만들고 변화시켜왔으며, 반대로 도시에 의해 ‘만들어져 왔다.’ 우리는 도시가 만들어지고 변화되어온 과정을 ‘계획’과 ‘설계’라는 두 개의 잣대로 바라보려는 시각이 있다. 도시가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과정에는 제도, 지식, 실천, 미학, 그것을 지탱하는 가치 등이 담겨있으며 눈에 보이는 가치는 설계,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는 설계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계획을 모르는 설계가나 설계를 모르는 계획가는 절름발이일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절름발이 계획/설계가는 다른 사람은 모르지만 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자신만이 느끼게 된다.
- 비판적 이해를 위한 계획/설계 공동스튜디오
계획/설계 공동스튜디오는 계획과 설계의 차이를 이해하고 결국 하나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 다른 스튜디오의 접근방식에 대한 ‘비판적’이해를 높이기 위함이다. 지금 우리는 현장에서 계획과 설계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이해되고 또한 그렇게 실천되고 있다. 학부과정이기는 하지만 계획프로젝트에서는 설계프로젝트가 또는 그 반대의 관점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고 내 프로젝트는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도시계획과 설계에 대한 나의 생각과 가치관은 타당한가 등등 이러한 성찰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사람들은 도시를 만들고 변화시켜왔으며, 반대로 도시에 의해 ‘만들어져 왔다.’ 우리는 도시가 만들어지고 변화되어온 과정을 ‘계획’과 ‘설계’라는 두 개의 잣대로 바라보려는 시각이 있다. 도시가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과정에는 제도, 지식, 실천, 미학, 그것을 지탱하는 가치 등이 담겨있으며 눈에 보이는 가치는 설계,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는 설계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계획을 모르는 설계가나 설계를 모르는 계획가는 절름발이일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절름발이 계획/설계가는 다른 사람은 모르지만 도시를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자신만이 느끼게 된다.
- 비판적 이해를 위한 계획/설계 공동스튜디오
계획/설계 공동스튜디오는 계획과 설계의 차이를 이해하고 결국 하나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 다른 스튜디오의 접근방식에 대한 ‘비판적’이해를 높이기 위함이다. 지금 우리는 현장에서 계획과 설계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이해되고 또한 그렇게 실천되고 있다. 학부과정이기는 하지만 계획프로젝트에서는 설계프로젝트가 또는 그 반대의 관점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고 내 프로젝트는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도시계획과 설계에 대한 나의 생각과 가치관은 타당한가 등등 이러한 성찰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메가트렌드를 고려한 도시계획과 도시의 성장 및 쇠퇴
우명제 교수 스튜디오
최근 4차산업혁명, 저출산, 1인 가구 증가 및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등의 메가트렌드는 도시 및 국토 공간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나타나고 있어 어떤 도시는 젊은 계층과 혁신 인재의 유입으로 성장 기반이 견고해지는 반면, 다른 지역은 고령화, 인구감소 등 지속적인 쇠퇴 경로를 겪게 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도시종합설계 스튜디오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메가트렌드를 반영한 도시계획, 도시개발, 도시의 성장 및 쇠퇴를 큰 주제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특히 청년을 포함한 연령별 인구이동의 공간적 패턴과 지역매력요소, 산업·물리적 요인을 포함한 이동요인 분석, 비수도권지역 성장거점으로서의 고속철도역 잠재력 분석을 위한 토지이용변화와 사회경제적 영향의 시계열적 분석,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생활인구 요소별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신도시의 생활권 차원 거점 잠재력 진단을 위한 자족성·중심성 분석을 세부 주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도시 및 지역계획 전략으로서 미시적 차원에서의 거점조성 전략, 도시개발사업 추진계획에서의 거점 전략, 사회·인구학적 측면에서의 인구유입과 생활인구 활용을 위한 성장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탄소중립도시 서비스 아이디어 개발(탄소중립도시) 스튜디오
이승일 교수 스튜디오
기후위기의 심화와 더불어 탄소중립은 이제 인류에게는 선택이 아닌 필수의 조건이 되었다. 인구가 밀집한 도시에 대한 도시계획과 개발의 과정에서도 탄소중립은 이미 중요한 계획요소로 자리 잡았으나, 정작 개발공사, 엔지니어링회사, 건설사, 설계사무실 등실무 현장에서 탄소중립도시는 여전히 생소한 분야이고 전문가도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도시공학과 학생들은 탄소중립도시에 대한 전문지식과 실무적용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 다른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탄소중립 도시계획전문가의 수요는 지금껏 유행처럼 생겼던 것들과 달리, 2030년, 나아가 2050년, 그리고 그 후에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대책은 앞으로 단순한 도시인프라의 건설에 국한하지 않고, 도시민의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대상으로 확대되어야 하므로, 그에 부합하도록 탄소중립도시 주제를 처음으로 시도한 우리 스튜디오에서는 탄소중립 시설의 설치, 탄소중립 생활 및 교통수단의 지원, 탄소중립 행위의 보상, 미래 교통기술과 공원녹지 도입 등의 아이디어를 구현하여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도시에 대한 실무 현장의 낮은 관심도가 바뀔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도시공학과
도시공학은 국토 및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계획 개발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종합학문(순수학문+응용학문)으로서,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현장성과 실천성을 높일 수 있는 계획 및 설계 교육을 하는 학과입니다.
따라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는 현대 도시의 다양한 문제, 즉 국토 및 도시개발 문제, 주택문제, 토지이용 문제, 교통문제, 환경문제, 부동산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학문과 기술, 방법을 익히고 종합 응용하여,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가(계획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중앙 및 지방 공무원, 공기업(한국토지주택공사, SH공사, 경기도시공사, 인천도시개발공사, 지자체 공사 등), 정부 및 지자체 연구소, 민간기업 연구소, 건설회사, 부동산 및 기획 기업, 엔지니어링 회사 등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중앙 및 지방 공무원, 공기업(한국토지주택공사, SH공사, 경기도시공사, 인천도시개발공사, 지자체 공사 등), 정부 및 지자체 연구소, 민간기업 연구소, 건설회사, 부동산 및 기획 기업, 엔지니어링 회사 등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품목록
CABILITY
NDC 2030 달성을 위한 모빌리티 탄소저감 플랫폼
CABILITY
Re-Ace
The SPARE : 무교 다동의 여유와 활기를 제공하는 연결형 중심공간
을지로 지하상가와 청계천을 연결하는 지하공간, Under SPARE의 활성화로 연결형 중심공간을 제공
WELLNESS VILLAGE, PMC
생활인구가 인구감소지역의 도시 활력에 미치는 영향: 체류인구의 세분화를 중심으로
Active Ground 세운 : 도심 기능 회복을 도모하는 새로운 문화여가단지
team tomodachi
연령별 인구이동 패턴과 인구이동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이동의 패턴과 그 요인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본 연구는 국토균형발전 정책 수립에 있어 연령별 분석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A COMPARATIVE STUDY ON WALKABILITY INDEX OF 27 CAPITALS IN BRAZIL
이 연구는 브라질의 27개 주의 수도의 보행 가능성 품질을 조사하고 순위를 매기는 것이다.
공냉이
공유냉장고 기반 먹거리 공동체 형성을 통한 탄소 감축
비수도권 도시의 청년인구 이동 패턴 및 요인 분석 : 지역의 매력요소를 중심으로
“일자리가 많아지면 정말 청년이 비수도권 도시로 갈까?”
윤준희, 진혁
비수도권 지역의 KTX역이 주변 지역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도심 외곽형을 중심으로 –
PLOT : 인적 · 물리적 연결을 통해 무교 · 다동의 이야기를 완성하는 복합문화도심
posco
코로나19에 대한 골목상권 회복력의 영향요인 분석: 서울형 골목상권의 월별 카드 매출액 변화를 중심으로
코로나19의 경제적 타격이 서울시 내에서 어떻게 분포하고,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쳤는지 정량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따릉이 앱
수도권 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1기 신도시의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
LOCOZ
WE-LOCO : 사람을 위한 복합 라이프스타일 단지
THE LINE : 일상과 비일상이 만나는 제3의 공간, 신촌
청매화
청매화(靑梅花) : Tactical Placemaking
파주 메디컬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위한 Placemaking,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 전략 제안
권도훈조성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교통시설의 녹지화 면적 산정 연구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도시 교통 시설의 녹지 전환 면적 및 탄소 흡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이다.
탄소정차
탄소중립 캠퍼스 구상: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Team ggoo
고속철도역 입지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변화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