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269 | Total 969,319

서울시립승화원

기존의 승화원에서 반영하지 못하였던 바뀌는 화장문화와 유족들과 유구의 흐름을 고려한 승화원, 고인을 추모하는 새로운 공간과 안치함으로 이루어진 봉안당을 통해 사람을 품어주고 위로하는 Landscape Architecture의 제시
조회 1734

남은 사람들을 위한 승화원과 봉안당

국가통계 포털에 따르면, 2022년 한해 사망자 수는 37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였으며, 이중 서울시의 사망자 수는 월간
약 4,400명에 이른다. 서울시 2개의 공설 승화원 중 하나인 서울시립 승화원은 화장률이 20%를 웃돌았던 1980년대 지어졌다.
그 후로 40년이 지난 지금 서울시의 화장률이 95%에 이르면서 화장에 대한 인식은 변하였고 최첨단 설비들이 등장하였다.

같은 부지에 떨어져 위치한 봉안당은 가로로 한 뼘 세로로 한 뼘 누군가의 삶이 재가되어 들어선 공간에 시간이 지나 덕지덕지
붙여진 독촉장들로 가득 차 있어 효율적으로만 안치함을 배치하기 위해서 설계된 모습을 보인다.

기존의 승화원에서 반영하지 못하였던 바뀌는 화장문화와 유족들과 유구의 흐름을 고려한 승화원, 고인을 추모하는 새로운 공간과 안치함으로 이루어진 봉안당을 통해 사람을 품어주고 위로하는 Landscape Architecture를 제시한다.

승화원의 앞부분 ( 유족 주차장 ) 은 유지하고 기존의 떨어져 존재하였던 봉안당과 승화원을 하나의 건물로 병합하였다.

기존 승화원의 전면에 배치되었던 대형버스 (유가족) 주차장은 건물과 대각선으로 만나게 배치하여 승화원에 진입하는 사람들이 우선적을로 마주하는 것이 답답한 대형버스들의 입면이 아닌 승화원의 입면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의견

1 thought on “서울시립승화원”

  1. 지나가던 장례지도사 입니다. 서울시민 이용가능 승화원 총 2곳입니다. (서울시립승화원 / 서울추모공원)

    Reply

Leave a Comment

다른 출품자의 작품보기

GTX-A 건설과정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신내역, 성남역을 중심으로

이환석, 안준형 | 도시공학과
#GTX #배후지역 #성남 #역세권 #연신내 #토지이용변화
GTX-A 건설과정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신내역, 성남역을 중심으로
GTX는 역세권 중심지역보다 배후지역에 더 높은 용도변화 양상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변화가 더 큰 지가 상승 효과를 가져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함
왐!(UAM)

하나루 : 강변

고민지, 김민진, 박유순, 안호현, 이서영, 임윤재, 주예진 |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UAM #버티포트 #하나루
하나루 : 강변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강변북로 인근 자양취수장이었던 부지를 사용하여 UAM 버티포트 역할을 하는 복합터미널 설계안.

저소득자를 고려한 심야버스 운행 개선 방안 연구 : 서울시 N버스 노선을 중심으로

안성재, 김동하 | 도시공학과
#N버스 #군집분석 #생활권 #심야통행 #저소득자
저소득자를 고려한 심야버스 운행 개선 방안 연구 : 서울시 N버스 노선을 중심으로
새벽 시간에도 도시의 활동은 멈추지 않으며, 다양한 이유로 이동하는 사람들의 흐름은 계속된다. 본 연구는 심야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N버스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저소득자 승객을 위한 운행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