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223 | Total 971,644

University of Seoul, College of Urban Science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온라인 아카이브
2025

서울시립대학교
제39회 도시과학 공동작품전

총장님 인사말

안녕하세요.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서순탁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교수님과 학생 여러분, 공동작품전을 준비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도시과학대학은 우리 대학이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하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습니다.

공동작품전은 도시과학분야의 학문적 교류와 소통을 위해 건축학부, 도시공학과, 조경학과, 교통공학과, 공간정보공학과 등 공간을 다루는 5개 학부과가 졸업작품전을 공동으로 진행해 온 매우 뜻깊은 행사입니다.

엄중한 코로나19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겨울방학부터 약 6개월 동안 졸업작품전 전시를 준비해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 5월 31일부터 ‘온라인 방식’으로 도시과학대학 공동작품전을 전시하게 됨을 축하합니다.

그동안 지도해주신 교수님들과 학생들의 노고에 경의를 표하며, 수고하신 도시과학대학 최윤수 학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올해에도 작년처럼 도시과학대학 학생들의 작품들이 아카이브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공동작품전을 통하여 도시과학의 새로운 발전과 미래 도시공간 창출 방향을 모색하고, 관련 학과가 서로 융합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다시 한 번 학생 여러분들의 수고에 격려와 함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지도하신 교수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5월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서순탁
서울시립대학교
제39회 도시과학 공동작품전

학장님 인사말

작품보기

CHIMNEY +

조경익 |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CHIMNEY +

인구감소지역의 특성에 따른 유형화와 청년인구 유입 결정요인 분석 : 지방소멸대응기금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강민재,박승규 | 도시공학과
#도시 활력 #인구감소지역 #지방소멸대응기금 #청년
인구감소지역의 특성에 따른 유형화와 청년인구 유입 결정요인 분석 : 지방소멸대응기금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L+INK :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광희동 인쇄산업 활성화 프로젝트

최서정, 한민하 | 도시공학과
#복합문화공간 #인쇄 #인쇄골목 활성화 #지역문화자산 #출판
L+INK :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광희동 인쇄산업 활성화 프로젝트

서울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산업협력지구 조성

강수진, 이은서 | 도시공학과
#도시경쟁력 #복합개발사업 #입체공원 #차량기지 #철도지하화
서울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산업협력지구 조성
: 구로 일대의 철도 유휴부지 활용으로

The EduVenture: 학령인구 감소 시대, 미래형 도시학교의 새로운 제안 part.1

김민서 | 도시공학과
The EduVenture: 학령인구 감소 시대, 미래형 도시학교의 새로운 제안 part.1
도봉구 미래학교 마스터플랜: 홈베이스학교와 거점학교의 지역사회 적용

지하철 기반 자전거 연계 도심형 물류 서비스

박소윤 | 교통공학과
#도심물류최적화 #서울특별시 #지하철 #화물용전기자전거
지하철 기반 자전거 연계 도심형 물류 서비스
도심 지하철과 화물용 전기 자전거를 활용한 친환경 물류 시스템 구축

회기역 2번출구 Promenade 조성

박찬진 | 교통공학과
회기역 2번출구 Promenade 조성
회기역 2번출구

횡단보도 위의 고령자 배려:  고령자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신호 자동연장과 보행섬 도입방안

손현웅 | 교통공학과
횡단보도 위의 고령자 배려:  고령자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신호 자동연장과 보행섬 도입방안

ZERO CAM: 서울시립대학교 탄소중앙관리시스템(UOS CEMS)과 연동한 캠퍼스 생활 탄소배출 산출앱

문서현, 박성현 | 도시공학과
#CAMPUS #기후 위기 #탄소 중립
ZERO CAM: 서울시립대학교 탄소중앙관리시스템(UOS CEMS)과 연동한 캠퍼스 생활 탄소배출 산출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