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42 | Total 945,280

코로나19 전후 국내 대도시의 공간특성에 따른 인구이동량 영향 : 서울 및 광역시 4곳의 자치구를 중심으로

조회 262
  • #공간 특성 #다중회귀분석 #인구이동량 #코로나19
  • @gwoo4598

2020년 국내 대도시의 대유행시기별 인구이동량 변화와 도시의 공간 및 지역특성이 이에 미친 영향을 연구함

코로나19는 도시와 도시를 살아가는 시민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기에 각 도시가 코로나19로 인해 받은 영향에 대해 자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서울에 대한 영향을 밝힌 연구가 대부분으로, 서울이 아닌 지방 지역에 대한 연구 부분은 그 수에서 상대적으로 훨씬 적었다. 때문에 서울에 대한 연구에서 확인된 코로나19의 영향이 타 지방의 도시에서도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 전후 전국 주요 도시별 공간특성이 인구이동량에 미친 영향에 관해 확인하고자, 코로나19가 가장 심각하였던 세 차례의 대유행시기를 시간적 범위로 하여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5개 도시의 전년 대비 인구이동량 변화율을 파악하고 각 자치구가 가진 공간적 특성이 인구이동량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기존 서울에 대한 연구결과의 전국 대도시 지역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 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의견

Leave a Comment

다른 출품자의 작품보기

서울시 소규모 도심형 물류센터(MFC) 기반 생활물류 개선 연구

강전준 | 교통공학과
#Last-mile #MFC #입지분석
서울시 소규모 도심형 물류센터(MFC) 기반 생활물류 개선 연구

저소득자를 고려한 심야버스 운행 개선 방안 연구 : 서울시 N버스 노선을 중심으로

안성재, 김동하 | 도시공학과
#N버스 #군집분석 #생활권 #심야통행 #저소득자
저소득자를 고려한 심야버스 운행 개선 방안 연구 : 서울시 N버스 노선을 중심으로
새벽 시간에도 도시의 활동은 멈추지 않으며, 다양한 이유로 이동하는 사람들의 흐름은 계속된다. 본 연구는 심야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N버스의 이용 현황을 분석하고, 저소득자 승객을 위한 운행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도시주택의 삶과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Urban Housing 남산타운아파트 리모델링

김원빈 |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도시주택의 삶과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Urban Housing 남산타운아파트 리모델링
본인은 고도성장 이후 비어가는 집합 주택의 해결책을 고민하고자 한다. 고밀에서 저밀로의 전환기에 기존 집합 주택의 잉여 공간이 택해야 하는 전략을 아파트 리모델링을 통해 발로하며, 미래 주거로서 구체화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미래 주거의 효시는 고도성장기에 지어진 남산타운아파트에서 실체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