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410 | Total 939,059

지상철도 근접성이 공동주택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 서남부 지상철도 구간을 대상으로

헤도닉 가격 모형 기반의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해 지상철도와의 거리와 공동주택 임대료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조회 415

지상철도 근접성이 공동주택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방향은 어디로 향해야 할까?
높은 빌딩과 쭉 뻗은 도로와 같은 외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행복하게 거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민들이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의 측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고, 건강하고, 편리해야 한다. 그러나 도시의 일부 지역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주민들의 주거환경이 위협받고 있다. 특히 소음과 진동 및 분진, 도시 연결성과 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지상철도 주변의 거주지역의 주민들의 주거환경이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상철도 근접성이 공동주택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낙후된 주거환경을 규명하고자 한다.

의견

Leave a Comment

다른 출품자의 작품보기

The EduVenture: 학령인구 감소 시대, 도시형 미래학교의 새로운 제안 part.2

박지연 | 도시공학과
#미래사회 #2040 #지역연계교육 #학교
The EduVenture: 학령인구 감소 시대, 도시형 미래학교의 새로운 제안 part.2
일상 속에서 탐구하고 토론하며 학습의 여정을 이어가는 지역사회의 교육 거점

Hub&Net : 탄소 감축을 위한 출발지 역세권 모빌리티 허브 조성과 MaaS 도입

최민영, 최소휘 | 도시공학과
# 모빌리티 허브 #탄소 중립 #MaaS #출발지 역세권 #퍼스트마일
Hub&Net : 탄소 감축을 위한 출발지 역세권 모빌리티 허브 조성과 MaaS 도입
본 연구는 퍼스트마일 지역의 철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출발지 기반 모빌리티 허브와 MaaS 기반 통합 플랫폼 구축을 제안한다. 이는 수요자 중심 교통전환과 탄소감축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이다.

도시주택의 삶과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Urban Housing 남산타운아파트 리모델링

김원빈 |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도시주택의 삶과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Urban Housing 남산타운아파트 리모델링
본인은 고도성장 이후 비어가는 집합 주택의 해결책을 고민하고자 한다. 고밀에서 저밀로의 전환기에 기존 집합 주택의 잉여 공간이 택해야 하는 전략을 아파트 리모델링을 통해 발로하며, 미래 주거로서 구체화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미래 주거의 효시는 고도성장기에 지어진 남산타운아파트에서 실체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