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196 | Total 947,565

암 경험자를 위한 재활 센터

조회 583

성내천변 위, 공유 주방을 중심으로한 재활 센터

선례 조사를 통해 운동, 오픈 키친, 상담, 교육의 네 가지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사이트에서 잠실과 아산병원을 연결하는 다리의 필요성을 추출하였다.

기능에 따라 분리된 매스는 양 옆으로 벌어져 외부 경관을 품게 된다.

이들을 이은 상부 공간은 공공을 위한 다리로 이용된다.

매스의 형태에 맞추어 형성된 보이드가 다리와 재활 센터를 연결된다.

여기에 유려한 곡선이 관입한다.

이 선은 보이드를 막는 난간이자 공간을 구분하는 솔리드한 벽, 가벼운 가벽(커튼)을 구성한다. 각 공간은 유동하며 이어진다. 

마치 떠있는 것 같은 긴 형태는 강변을 가로로 가르며, 성내천 경관에 변화를 만든다. 

다양한 각도로 만나는 벽과 보이드가 빛을 끌어들이며 따스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현대의 병원에 한 개인이 환자이자 인간일 수 있는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암 진단을 전후한 삶의 격차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병원 속에서 이를 수용할 심적 존엄을 누릴 수 없다. 투명하고 바쁜 병원 건축 안에서 우리는 진중할 권리를 상실하였다. 그렇게 환자로서의 삶은 인간으로서의 삶과 유리된다. 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설계안 구성에 앞서 대안적 의료 건축인 메기 센터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현재는 고인이 된 메기 젠크스는 말기 암 진단을 받고 울 수 조차 없었음을 호소한다. 다음 환자를 위해 쫒겨나듯 진료실을 나왔는데, 편히 갈 곳도 비슷한 처지의 사람도 없었다고. 그렇게 그녀는 대형 병원 부지 한켠에 암 경험자를 위한 치유 공간을 만들게 된다. 메기 센터는 공유 주방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주방에서 음식과 차를 나누며 공통점을 가진 자들이 대화를 나눈다. 내부 공간은 시원하게 트여 있으며, 암 경험자와 그의 주변인이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다. 교육, 운동, 상담 등 프로그램에 맞추어 각 공간은 칸막이로 분리된다.

 

대상지로 아산병원 옆 성내천을 선정하였다. 매년 발생하는 암 환자 아홉명 중 한 명은 아산병원을 선택한다. 한강과 성내천을 곁에 두어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끼고 있지만, 현 수변공간은 산책로로 사용될 뿐 유용하게 활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치수를 담당하는 다리 모양의 구조물이 밀집하여 있어 독특한 경관을 만든다.

선례 조사를 통해 운동, 오픈 키친, 상담, 교육의 네 가지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사이트에서 잠실과 아산병원을 연결하는 다리의 필요성을 추출하였다. 기능에 따라 분리된 매스는 양 옆으로 벌어져 외부 경관을 품게 된다. 이들을 이은 상부 공간은 공공을 위한 다리로 이용된다. 매스의 형태에 맞추어 형성된 보이드가 다리와 재활 센터를 연결된다. 여기에 유려한 곡선이 관입한다. 이 선은 보이드를 막는 난간이자 공간을 구분하는 솔리드한 벽, 가벼운 가벽(커튼)을 구성한다. 각 공간은 유동하며 이어진다.  마치 떠있는 것 같은 긴 형태는 강변을 가로로 가르며, 성내천 경관에 변화를 만든다.  다양한 각도로 만나는 벽과 보이드가 빛을 끌어들이며 다양한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thanks to
라인 테이프에 매니큐어까지 맡아준 여철. 올해도 또 젯소를 칠한 영진. 자르는 대로 90도가 나오는 모형의 신 익환오빠. 엄지손톱만한 가구도 만들어준 윤재. 귀찮은 언니를 잘 견뎌준 재윤. 덕분에 졸업합니다. 정현 교수님 한 학기동안 많이 배웠습니다. 고마워요.

의견

1 thought on “암 경험자를 위한 재활 센터”

Leave a Comment

다른 출품자의 작품보기

Hub&Net : 탄소 감축을 위한 출발지 역세권 모빌리티 허브 조성과 MaaS 도입

최민영, 최소휘 | 도시공학과
# 모빌리티 허브 #탄소 중립 #MaaS #출발지 역세권 #퍼스트마일
Hub&Net : 탄소 감축을 위한 출발지 역세권 모빌리티 허브 조성과 MaaS 도입
본 연구는 퍼스트마일 지역의 철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출발지 기반 모빌리티 허브와 MaaS 기반 통합 플랫폼 구축을 제안한다. 이는 수요자 중심 교통전환과 탄소감축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이다.

도시주택의 삶과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Urban Housing 남산타운아파트 리모델링

김원빈 |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도시주택의 삶과 죽음, The Life and Death of Urban Housing 남산타운아파트 리모델링
본인은 고도성장 이후 비어가는 집합 주택의 해결책을 고민하고자 한다. 고밀에서 저밀로의 전환기에 기존 집합 주택의 잉여 공간이 택해야 하는 전략을 아파트 리모델링을 통해 발로하며, 미래 주거로서 구체화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미래 주거의 효시는 고도성장기에 지어진 남산타운아파트에서 실체화된다.
2조

골라르방: 개인 취향 맞춤 자동 여행 플래너

강상우 김희도 이원홍 | 공간정보공학과
#여행 #일정 #제주도 #A2C #Action Mask #PointerNetwork #강화학습 #네비게이션 #웹개발 #임베딩 #크롤링
골라르방: 개인 취향 맞춤 자동 여행 플래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