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73 | Total 962,383

공유냉장고 기반 먹거리 공동체 형성을 통한 탄소 감축

조회 201
  • #어플리케이션 #공유냉장고 #음식물쓰레기 #탄소중립도시 #폐기물

공유냉장고 설치와 공유냉장고 기반 플랫폼 개발을 통한 폐기물 부문 탄소저감

전 세계 도시에서 매일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큰 경제적 부담을 주며 환경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저해하며,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과 높은 탄소 배출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식재료 나눔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분배와 탄소배출저감을 이루고자 프로젝트를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는공유냉장고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고, 버려질 수 있는 식재료를 필요한 사람들과 나눌 수 있도록 하여 식품 낭비를 줄인다. 또한 공유냉장고는 지역사회의 자원 순환을 촉진하고, 탄소중립도시를 향한 목표에 기여한다.

의견

Leave a Comment

다른 출품자의 작품보기

수미상관 조

데이터 분석 기반 도시 재난(폭염, 침수) 위험성 평가 및 공원 유형화 계획 : IPCC AR6 기후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차민승,이준성 | 조경학과
#폭염 #공원유형 #기후변화 #내수침수 #자연재해
데이터 분석 기반 도시 재난(폭염, 침수) 위험성 평가 및 공원 유형화 계획 : IPCC AR6 기후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 재해의 확대에 따라 재난 위험 지역을 평가하고 그 지역의 공원의 활용 방안 유형 제시

GTX-A 건설과정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신내역, 성남역을 중심으로

이환석, 안준형 | 도시공학과
#GTX #배후지역 #성남 #역세권 #연신내 #토지이용변화
GTX-A 건설과정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연신내역, 성남역을 중심으로
GTX는 역세권 중심지역보다 배후지역에 더 높은 용도변화 양상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변화가 더 큰 지가 상승 효과를 가져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함

지금 오늘 학교는

함승우 |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사회 #소규모 #초등학교
지금 오늘 학교는
대한민국 인구감소는 수도권 학령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약 반세기 넘게 유지되고 있는 학교공간은 학급인원 및 학생 수 감소, 교육과정 변화, 체육관 등의 시설 확충 등 변화를 수용하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실의 가변성, 운동장에 대한 근본적 고찰 및 효율적 활용 등에 대한 질문을 배경으로 특별한 소규모 학교를 제시하고자 한다.